여름철 전기세 아끼는 특별한 방법 총정리 (+누진세 적용 기준)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는 지금, 더위와 장마 에 잘 대비하고 계신가요? 덥고 습하고 꿉꿉한 날씨를 이겨내고 쾌적하게 지내고 싶은게 모두의 바람일거에요. 하지만 여름 전기세 걱정에 맘놓고 빵빵하게 에어컨을 틀 수 없는 것도 현실입니다. 실제로 여름철 전기세 상승 에 가장 직접적이고 뚜렷한 영향을 주는 가전제품이 바로 에어컨 입니다. 많은 전력량을 소비해 전기세를 더 많이 내는 ' 누진세 '구간에 들어가면 세금을 더 많이 내야하기에, 적절히 아껴쓰는 지혜가 필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에어컨을 하루에 얼마나 쓰면 누진세를 내게 되는지 알아보고,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여러 가지 꿀팁까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에어컨 누진세 막는 절약 꿀팁" 1. 에어컨 누진세, 일반 가정 누진구간 계산 전기요금 누진제도란? 여름철 전기요금은 봄·가을에 비해 월평균 3만~3만5천원 더 많고 , 겨울과는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라고 해요. 여름에는 에어컨 등 냉방기기 사용이 급증해 누진세 구간 진입이 잦아지기 때문에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전기요금 누진제도 는 전기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단위 요금이 비싸지는 제도 인데,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제도에요. 누진구간별 전력량, 전기세 전기 사용량이 일정 구간을 넘을 때마다 단위 요금이 단계별로 올라가는데, 여름철(7~8월)에는 주택용 누진구간이 아래 표와 같아요. 각 구간(단계)을 넘을 때마다 kWh당 요금이 크게 오르게 돼요. 기본요금도 사용량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되며, 300kWh 이하 910원, 300kWh 초과 1,600원, 450kWh 초과 7,300원 등으로 증가(저압 기준)해요. 그래도 여름철에는 냉방 수요 증가로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누진 구간이 확대되어 누진세가 완화돼요. 일반 가정 누진구간 예시 30평대 아파트 에서 흔히 사용하는 스탠드형 에어컨 (소비전력 약 1,800~2,500W)을 기준으로, 하루에 에어컨을 얼...